홈 KBN KBP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현황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BP)는
2008년 부터 시작되어 17개 인체자원단위은행 체제 (Bottom-up)로 운영되었으며,
2021년 부터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 사업으로 전환하여
국가적 확보‧활용이 필요한 질환 특성별인체자원 수집확보 체계 (Top-down)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KBN 1~3기
2008~2020년
단위은행 체계
Bottom-up 자원확보 및 지원
KBN 4기
2021년~현재
거점은행 체계
Top-down 자원 및 주문형뱅킹
한국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단위은행 체계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
(Korea Biobank Network, KBN)는 질병관리청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17개 대학병원 소재 인체자원단위은행들로 구축된 국가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입니다. KBN은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인구집단기반 (중앙은행) 및 질병 기반 (17개 단위은행) 인체자원을 수집, 관리, 분양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국립마산병원과 한국원자력의학원이 KBN 협력병원으로 참여하였습니다.KBN 소속 전국 17개 대학병원 소재 단위은행에서는 소속 병원내 임상과 들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갖추고, 내원한 환자로 부터 자발적인 기증 동의에 따라 혈액, 조직, 소변 등 다양한 인체 질환자원을 수집하였습니다. 또한 대외기관과의 MOU 체결, 연구네트워크 등을 통해 고품질 질환 자원을 확보하고, KBN 분양지원센터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빠르고 편리하게 인체자원을 분양함으로써 연구지원 공공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아래의 해당 병원명을 클릭하시면
상세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자료는 2021년 3월말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참여은행
2021년부터 질병관리청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제4기 사업에 참여할 핵심 참여기관 12곳을 신규로 선정하여 구축된 국가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입니다. KBN은 이번에 새롭게 선정된 10개의 주요 질환별 인체자원은행인 거점은행과 2개의 혁신형 바이오뱅크 컨소시엄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KBN 소속 각 거점은행에서는 바이오헬스 산업·연구에 필요한 질환 인체자원 및 표준화된 임상·역학정보, 영상정보 등을 확보하게 되고, 공동 분양 지원시스템을 통한 연구지원, 주문자 맞춤형 자원을 제공하며, 거점은행은 주요 질환 인체자원의 국가자원화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 주요 연구개발(R&D) 과제 등을 통해 생산되는 인체자원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해당 질환의 ‘기탁 등록 보존 기관'역할을 수행하며, 소속 기관 내 인체유래물은행의 고유 기능도 함께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 기업체 참여 및 지원 활용을 유도함으로써 바이오헬스 분야 학술적 산업적 성과창출(예, 진단키트, 디지털치료제, 신약개발 등)을 견인하고, 바이오뱅크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당자료는 2024년 6월말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사업 참여기관
과제명 특성화질환 구분 기관명
1-1. 혈액 및 알레르기 질환 특성화
인체자원 네트워크 운영
혈액암, 혈액질환, 아토피성피부염, 정상인 거점은행 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협력은행 가톨릭대학교의정부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부천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은평성모병원
가톨릭대학교대전성모병원
1-2. 염증성장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염증성장질환 거점은행 경북대학교병원
협력은행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1-3. 신장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사구체질환, 신부전 거점은행 서울대학교병원
협력은행 아주대학교병원
임상의 강원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1-4. 구강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구강질환 거점은행 서울대학교치과병원
협력은행 연세대학교치과대학병원
의료법인사과나무의료재단
부산대학교치과병원
1-5. 난치암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간내담도암, 난소암, 췌장암, 폐암 거점은행 서울아산병원
협력은행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차의과대학교분당차병원
1-6. 호흡기알레르기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간질성폐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거점은행 순천향대학교부속부천병원
협력은행 이화의대부속목동병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1-7. 간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간암, 간경화, 바이러스감염, 간기타질환, 정상인 거점은행 아주대학교병원
협력은행 계명대학교동산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1-8. 유방 및 여성생식기 질환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여성생식기암, 유방암, 유방제자리암종,
유방양성종양, 유방의 장애, 임신, 출산, 산후기
거점은행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협력은행 인하대병원
부산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1-9. 비뇨기종양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방광암, 신장암, 전립선암, 정상인 거점은행 충북대학교병원
협력은행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계명대학교동산병원
제주대학교병원
1-10. 암 정밀의료 특성화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운영
간암, 뇌종양, 대장암, 위암, 유방암, 폐암, 혈액암 거점은행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협력은행 전북대학교병원
원광대학교병원
2.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지원사업 참여기관
과제명 특성화질환 구분 기관명
2-1. 육종암 연구를 위한 혁신형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육종 책임기관 국립암센터
컨소시엄기관
(은행, 임상의, 산업계)
전북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셀레믹스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2. 만성뇌혈관질환 연구를 위한 혁신형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만성뇌혈관질환 책임기관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컨소시엄기관
(임상의, 산업계)
삼성서울병원
인하대병원
전남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수원시노인정신건강복지센터
2-3.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구축·운영 (종양성질환)
부인암
(자궁경부암,자궁내막암,난소암, 질암, 나팔관암)
책임기관 강남세브란스병원
2-4.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구축·운영 (비종양성질환)
발달장애질환, CADASIL 책임기관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컨소시엄기관
(임상의, 산업계)
신촌세브란스병원
충북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