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
KBN 인체자원 공유개방 플랫폼 운영사업 (2단계)추진
인체자원 관리자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ISO 20387 시범인정
KBN Portal 운영체계 고도화 진행
KBN Portal 카카오톡 상담 채널 운영 시작, 홍보 활동 개시 (학술대회 등)
- 2021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4기 착수 (2021~2025)
질병기반 인체자원 특성화 거점네트워크 10개소 및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2개소 신규 지정 및 운영 개시
KBN-CDM 2.0 공개
- 2020
-
KBP 2030 중장기전략 및 4기 (2021~2025) 시행 계획 마련
KBN-Portal (http://www.kbn.re.kr/) 운영 개시 (질병기반 인체자원 분양)
KBN-CDM (Common Data Model) 1.0공개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 및 질환중심형 바이오뱅크 사업 종료
- 2019
-
인체자원은행 고도화사업 추진 (특화질환자원 수집 네트워크 구축 사업, KBN 공유개방 플랫폼 구축 사업)
분양상담 콜센터 (ARS 1661-9070)를 통한 분양상담건수 2,000건 돌파
체액자원 위킹뱅크 구축
- 2018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수수료 납부제 도입
DNA 워킹뱅크 구축
- 2017
-
제 2차 바이오뱅크 포럼 개최 (2월)
- 2016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3기 착수
제1차 바이오뱅크 포럼 개최 (11월)
인체자원 분양데스크 개편
BIMS 소프트웨어 14개소 기관 추가 배포 (총 32개소)
< BIMS 사용협약체결 인체유래물은행 현황 >- 1. 울산대학교병원
- 2. 의정부성모병원
- 3. 서울대치과병원
- 4. 을지대병원
- 5. 부산대치과병원
- 6. 성바오로병원
- 7. 원주세브란스
- 8. 이대목동병원
- 9. 부천성모병원
- 10. 가톨릭대 성의교정
- 11. 분당차병원
- 12. 국제성모병원
- 13.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14. 단국대학교병원
- 2015
-
BIMS 소프트웨어 18개소 기관으로 확대 배포
< BIMS 사용협약체결 인체유래물은행 현황 >- 1. 국립마산병원
- 2.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 3.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 4. 강남세브란스병원
- 5. 경희의료원
- 6. 고려대 안산병원
- 7. 고려대 안암병원
- 8. 순천향대 천안병원
- 9. 인하대병원
- 10. 조선대학교병원
- 11.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혈액자원은행,방사선조직자원은행)
- 12. 가천의대 길병원
- 13. 건국대학교병원
- 14. 양산 부산대학교병원
- 15.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 16. 고신대 복음병원
- 17. 동아대학교병원
- 18.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 2014
-
인체자원 분양데스크 오픈
- 2013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2기 착수
인체자원연구지원센터 설립
KBN 협력병원 참여 : 국립마산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 2012
-
한국인 인체자원 50만 명 확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개관
- 2011
-
인체자원단위은행 4개소 추가 선정 (총 17개소로 확대)
- 2010
-
인체자원단위은행 1개소 추가 선정 (총 13개소)
- 2009
-
인체자원단위은행 4개소 추가 선정 (총 12개소)
- 2008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1기 착수
인체자원중앙은행 출범
인체자원단위은행 (8개소) 참여로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 (Korea Biobank Network, KBN) 구성
인체자원 정보관리시스템 (Biospecim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IMS) 개발
- 2007
-
국가 인체자원 수집·관리·활용 마스터플랜 수립
바이오뱅크과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TF팀 구성”
- 2003
-
코호트 인체자원 분양 개시
- 2002
-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 소속 유전자원 관리실 (현 바이오뱅크과) 설립
- 2001
-
코호트 인체자원 수집 개시